소재로 세상을 바꾸다
The Innovative Material for the World More View연구개발
자세히보기연구소 소개
㈜태경코엠 연구실은 화장품 원료(항균소재)와 관련하여
꾸준히 연구개발 및 특허등록을 진행하고 있으며 고객의 니즈를 반영한 제품 출시에 노력을 기울이고 있습니다.
김해련 태경그룹 회장
2014년 회장 취임 후 年매출 4천억→1조
"10년마다 2배씩 더 성장시키겠다"
美관세 등 악재에도 목표달성 자신
창립 50주년…M&A 통해 사업 확장
"창업주 철학, 사회환원으로 이어갈것"
◆ 비즈니스 리더 ◆
"10년 뒤인 2035년, 태경그룹을 매출 2조원과 영업이익 2000억원을 달성하는 회사로 끌어올리겠습니다."
올해 창립 50주년을 맞은 태경그룹이 '100년 기업'을 향한 청사진을 제시했다. 김해련 태경그룹 회장은 최근 매일경제와 인터뷰하면서 "'소재로 세상을 바꾸다'라는 비전 아래에서 글로벌 1위 첨단소재 그룹으로 도약하겠다"고 강조했다. 태경그룹은 무기화학 소재와 산업용 가스 등을 생산하는 중견기업이다. 특히 중질탄산칼슘, 드라이아이스, 합성왁스 같은 분야에서는 국내 1위다. 다음은 김 회장과의 일문일답.
―창립 50주년을 맞아 '2035년 매출 2조, 영업이익 2000억' 비전을 선포했다. 현재의 두 배인 셈인데 가능한가.
▷허황된 목표가 아니다. 태경그룹 50년의 성장 과정을 분석해 보니 창립 20년 만에 매출 1000억원을 돌파한 후 10년 단위로 매출이 두 배씩 성장했다. 회장으로 취임했던 2014년 4000억원대였던 매출이 현재 1조원을 눈앞에 두고 있다. 과거 성장 데이터에 기반한 자신감 있는 목표다. 성장 핵심은 안정적인 이익이다. 이익이 바탕이 되지 않고는 기업이 안정적인 성장을 할 수 없다. 최근 몇 년간 연 7~8% 영업이익률을 유지하고 있다. 여기서 확보된 현금여력이 신사업 투자와 인수·합병(M&A)을 위한 시드 머니가 될 것이다.
―올해 인조 대리석 기업 라이온켐텍과 화장품 캡슐 소재 기업 케이피티 등 M&A를 통한 사업 확장이 활발하다.
▷M&A에는 두 가지 원칙이 있다. 첫째는 성장하는 글로벌 시장을 타깃으로 하는가, 둘째는 그 사업을 완벽하게 책임질 수 있는 신뢰할 만한 경영자(CEO)가 있는가다. 원가로만 경쟁하는 소재로는 중국을 이기기 어렵다. 하지만 인조 대리석처럼 문화와 밀접한 감성, 디자인으로 차별화할 수 있는 분야는 '메이드 인 코리아' 프리미엄을 통해 고부가가치를 창출할 수 있다. 최근 인수한 회사에 영입된 한 CEO는 '현재 1000억원대 매출을 5년 내 4000억원으로 끌어올리겠다'는 자신감 있는 목표를 제시했다.
―2014년 회장 취임 후 가장 성공적인 경영 사례로 적자였던 중질탄산칼슘 사업을 시장 1위로 반전시킨 사례가 꼽힌다.
▷발상의 전환이었다. 중질탄산칼슘은 종이를 만드는 데 쓰인다. 당시 경쟁사들은 유럽 기술 기반 설비를 바탕으로 인쇄용지에 썼을 때 백색도가 높은 고급 제품을 생산하고 있었다. 태경의 설비는 일본 기술 기반이라 백색도를 높이는 데 한계가 있었다. 굳이 경쟁사를 따라갈 게 아니라 '백색도를 높일 필요가 있느냐'고 역발상을 시도했다. 백색도가 필요하지 않은 포장지나 인쇄용지 시장을 공략했다. 우리가 잘하는 것에 집중해 품질은 다소 낮추더라도 원가를 혁신한 신제품을 개발했다. 그리고 결국 7~8년 만에 시장점유율 50% 이상의 압도적 1위가 됐다.
―최근 대내외 경영환경 불확실성이 크다.
▷지금 모든 기업이 미국 관세 문제로 고민이다. 미국 비중이 높고 낮고의 문제가 아니라, 글로벌 판도 자체가 예측이 불가하다. 예컨대 중국산 제품의 미국 수출길이 막히면 유럽에 저가로 풀려 전 세계 시장을 뒤흔든다. 태경처럼 철강사에 소재를 납품하는 기업 간 거래(B2B) 기업도 연쇄적으로 영향을 받는다. 또 하나의 큰 어려움은 산업용 전기료 인상이다. 특히 합금철 사업은 전기료 인상 직격탄을 맞는 분야다. 한때 회사 전체 매출에서 20%를 차지하던 주력 아이템이었지만 지금은 2%도 안 된다. 과감히 조정하고 있다. 경영환경이 시시각각 변하기 때문에 매번 전략적 방향 설정이 중요하다. 태경은 수십 개 아이템을 보유하고 있는 다양한 사업 포트폴리오가 강점이다.
―제조업 현장에서 인공지능(AI) 기술을 어떻게 활용하고 있는가.
▷현재 세부적인 제조 공정에 AI 적용을 시도하는 단계다. 예를 들면 광석을 식별하고 종류별로 선별하는 작업에 AI 비전 기술을 적용하고 있다. 이외에도 경영지표 분석이나 구매 프로세스 자동화 등에 AI 도입을 추진하고 있다.
―선친이신 고(故) 김영환 창업주의 '공존·공영·공익' 철학을 어떻게 계승·발전시키고 있나.
▷사업보국과 기업이익의 사회 환원이라는 대원칙은 변함이 없다. 이 철학을 투명경영, 성장비전 제시, 그리고 장학재단 중심 공익 활동이라는 방식으로 실천한다. 지난 10년이 창업주 유산 위에 혁신의 바람을 불어넣는 시간이었다면, 앞으로는 시대에 맞는 역동적인 도전을 통해 미래 세대에 선한 영향을 주는 기업을 만들고자 한다.
―송원 김영환장학재단은 태경그룹의 정체성이자 존재 이유라고 강조했다.
▷창업 8년 만인 1983년 장학재단을 설립해 43년 동안 한 번도 빠짐없이 장학금을 지급해왔다. 장학재단은 창업주가 사재를 출연해 만든, 창업 다음으로 추진한 또 다른 창업의 개념이다. 그룹이 계속 성장하고 발전해온 50년 역사에 장학재단은 사회와 함께하는 기업 가치를 실현하는 핵심이 돼왔다. 창업주는 개인 소유 회사 주식을 재단에 내놨고, 재단은 태경그룹의 주요 주주다. 그룹이 성장하고 이익을 내야 장학재단이 더욱 발전하고, 그룹 철학인 '공존·공영·공익'의 가치를 실현할 수 있다. 회사를 성장시켜야 하는 중요한 이유다. 또 재단은 단순히 장학금을 주는 곳이 아니라, 장학생 출신들이 자발적으로 기부하고 후배들의 멘토가 돼주는 '스스로 굴러가는 장학재단'이다. 이사장을 제외한 이사진 전원이 장학생 출신이며, 졸업생들의 누적 기부금은 7억원 가까이 된다. 경제적으로 어려운 환경에 있는 학생들을 선발해 졸업 때까지 지원한다. 이들이 사회의 훌륭한 인재로 성장하도록 돕는 것 또한 사업보국이라 믿는다.
김해련 태경그룹 회장 △1962년 경남 김해 출생 △이화여대 경영학과 졸업 △미국 뉴욕 페이스대 경영학석사(MBA) △뉴욕주립대 산하 FIT 패션디자인 전공 △한국중견기업연합회 수석부회장 △세계여성포럼(IWF Korea) 고문 △태경그룹 회장·송원김영환장학재단 이사장
출처 : 매일경제[2025.08.03]=>2035년 매출 2조 … 글로벌 소재기업 도약
[코스인코리아닷컴 한지원 기자] 태경에스비씨(주)가 무기 자외선 차단 원료(OTC 품목)에 대해 미국 식품의약국(FDA)의 우수의약품 제조·품질관리 기준(GMP) 실사를 통과했다고 공식 발표했다.
지난 2월 미국 FDA는 태경에스비씨(주)의 무기 자외선차단 원료 제조사업장에 대한 실사를 진행했으며 4월에는 모든 기준에 적합하다는 최종 실사 결과서(EIR)를 발행했다.
태경에스비씨(주)는 산화아연(ZnO) 등 산업용 소재 분야에서 50년 이상 축적된 경험과 기술을 바탕으로 2011년 화장품용 ZnO 양산 국산화에 성공했으며 양산이 까다로운 화장품용 TiO2의 국내 최초 양산에 성공하면서 국내에서 ZnO와 TiO2의 두가지 제품을 동시에 양산할 수 있는 유일한 기업이 됐다.
이번 FDA 실사를 통해 태경에스비씨(주)의 무기 자외선 차단제(TiO₂, ZnO)가 FDA의 GMP 기준을 충족하는 제조시설에서 생산되고 있음을 공식적으로 인증받게 된 것이다.
회사 관계자는 “이번 결과를 발판 삼아 북미 시장을 포함한 글로벌 시장 진출과 사업 확장에 박차를 가할 계획이다”며, “앞으로도 지속적인 품질관리와 기술 혁신을 통해 글로벌 경쟁력을 더욱 강화해 나가겠다”고 밝혔다.
TiO₂와 ZnO는 자외선 차단 제품의 필수적으로 사용되는 무기계 원료이다. 특히 양산 공정 기술이 어려운 TiO2의 경우 과거 국내에 양산할 수 있는 기업이 없었기 때문에 독일과 일본 등의 해외 제조사로부터의 수입에만 의존해 왔다.
이처럼 원료 수급을 해외기업에만 의존하게 되면 국내 기업은 가격, 물량 협상에서 늘 불리할 수 밖에 없으며 실제로 2019년에 일본 TiO2 제조사에서 공급을 제한하면서 국내 화장품 제조사들이 수년간 큰 어려움을 겪은 아픈 경험도 있었다.
태경에스비씨(주)는 최근 연구개발을 지속해 ZnO와 TiO2 1차 입자의 조절 기술, 2차 입자의 다양한 습식 코팅 기술을 개발했다. 이를 통해 최적화된 화장품용 무기 소재 개발이 가능해졌으며 다양한 입자 형태와 기능에 대한 고객 맞춤형 생산도 가능하게 됐다.
이번 미국 FDA의 GMP 실사 통과는 태경에스비씨(주)가 글로벌 의약품 수준의 제조와 품질관리 능력을 보유하고 있음을 입증한 것으로 수입 원료에 의존하던 무기 자외선 차단 원료의 국산화는 물론 글로벌 시장 진출 확대에도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으로 기대된다. 이에 따라 국내외 시장에서의 입지도 한층 강화될 전망이다.
<기사>
* 코스인 : https://www.cosinkorea.com/news/article.html?no=55368
* 화장품신문 : https://www.beautynury.com/news/view/108118/cat/10/cat2/10800/page/15
* 코스모닝 : https://cosmorning.com/news/article.html?no=50632
서울대학교 유홍림 총장은 2025년 4월 30일(수) 관악캠퍼스에서 학교 발전을 위해 약 67억 원을 쾌척한 송원김영환장학재단 김해련 이사장(태경그룹 회장)에게 감사패를 전달하는 만찬 행사를 개최했다. 이번 행사는 서울대학교 유홍림 총장을 비롯해 주요 교내 인사, 관계자들이 참석한 가운데 김 이사장의 지속적인 기부에 대한 깊은 감사와 존경을 전하고, 故 김영환 회장의 숭고한 뜻을 함께 기리는 자리로 마련됐다.
김해련 이사장은 1983년부터 현재까지 서울대학교에 총 67억 2,040만 원의 기금을 출연했다. 학생들을 위한 장학기금을 비롯해 경영대학 기금, 사회과학대학 국제문제연구소 출판지원금 등 다양한 분야에 걸쳐 서울대 인재 양성과 학문 발전을 위한 지원을 아끼지 않았다. 또한 경영대학 AMP 79기, 공대 AIP 63기 동문인 김 이사장은 2022년 AMP 대상을 받으며 서울대 커뮤니티 내에서도 높은 존경을 받아왔다. 현재 서울대총동창회 관악경제인회 상임부회장으로 활동하며 학교 발전에 힘을 보태고 있다.
유홍림 총장은 이날 감사 인사를 전하며 “김해련 이사장님은 아버님인 故 김영환 회장님의 뜻을 이어받아, 서울대학교의 인재 양성과 학문 진흥을 위해 누구보다 큰 사랑과 관심을 보내주셨다.”라고 말했다.
김해련 이사장은 “아버님이 생전에 늘 강조하셨던 ‘교육은 나라의 미래’라는 신념을 가슴에 새기며, 서울대가 세계를 이끄는 대학으로 더욱 발전해 나가기를 바란다.”라고 소회를 전했다.
서울대학교는 김해련 이사장과 송원김영환장학재단의 지속적인 지원과 나눔 정신을 소중히 이어받아, 앞으로도 인재 육성과 사회 공헌이라는 대학의 사명을 다해 나갈 계획이다.
재단법인 서울대학교발전재단
서울대소식[2025.05.09]=>
서울대학교, 김해련 이사장에 감사패 전달, 故 김영환 회장 업적 기리며, 뜻깊은 나눔 이어가
라이온켐텍 1300억에 인수
매출 1조 소재그룹 발돋움
태경그룹이 인조대리석 국내 3위 소재기업인 라이온켐텍의 경영권을 인수한다. 26일 태경그룹은 계열사인 태경비케이와 태경케미컬이 라이온켐텍 지분 56%를 약 1300억원에 인수한다고 밝혔다. 이로써 내년 창립 50주년을 앞둔 태경그룹은 연 매출 1조원 규모 소재그룹으로 거듭나게 된다.
라이온켐텍은 건축 내·외장재 소재기업으로 합성왁스 분야 국내 1위, 인조대리석 분야 세계 4위를 기록하고 있다. 매출 1300억원 중 70%가 해외에서 나온다. 하이엔드 인조대리석 '엔지니어드 스톤'(E-스톤)과 친환경 폴리올레핀 엘라스토머(POE) 접착제 등이 주요 제품이다.
김해련 태경그룹 회장(사진)은 "고급화와 친환경 트렌드에 따라 하이엔드 제품인 E-스톤과 친환경 POE 접착제는 향후 해외 시장에서 폭발적인 성장세가 예상된다"며 "태경그룹의 제품 포트폴리오와 함께 시장지배력을 높일 수 있을 것"이라고 밝혔다.
라이온켐텍 대표로는 김홍진 전 동화기업 대표가 선임됐다. 회사는 2016년부터 투자와 마케팅을 지속해온 고급 인조대리석과 친환경 접착제의 해외 시장 장악력을 높일 계획이다.
태경그룹은 2014년 김 회장 취임 이후 글로벌화를 선포하고 꾸준히 기초소재 분야 글로벌 경쟁력을 강화해왔다. 주력 제품인 석회소재의 공장 자동화를 통한 수익성 강화, 자외선 차단 화장품 시장 성장에 힘입은 나노산화아연 소재 매출 신장 등으로 올해 3분기 누적 매출액 5156억원, 영업이익 429억원을 각각 기록했다. 이번 라이온켐텍 인수도 이 같은 친환경 미래 기초소재 분야 포트폴리오 다각화 일환이라는 게 회사 쪽 설명이다.
태경그룹은 태경산업, 태경비케이, 태경케미컬과 이번에 인수한 라이온켐텍까지 4개 상장사를 비롯해 국산 기초소재 기업 13개를 보유하게 된다. 중질탄산칼슘, 경질탄산칼슘, 생석회, 액상소석회, 액체탄산가스, 드라이아이스, 합성왁스, 1·2-헥산디올을 비롯한 8개 소재 분야에서 국내 1위 제품 라인업도 갖추게 된다.
그간 태경그룹은 연구개발(R&D)과 소재 발굴을 비롯한 지속적인 투자를 통해 37개국, 2091개 기업에 수출하고 있다. 특히 적극적인 인수·합병 전략을 구사하며 기초소재 분야 전문성을 강화해왔다.
태경그룹이 2015년 인수한 산화아연회사 에스비씨(현 태경SBC)는 인수 전 대비 수출이 3.5배 늘었다. 태경SBC가 베트남 자회사 삼호를 수출 거점으로 삼고 공장 증설과 설비 첨단화 등을 추진한 덕분이다.
현재 브리지스톤과 콘티넨탈을 비롯한 글로벌 10대 타이어 회사에 고무용 가황 촉진제인 산화아연을 수출하고 있다. 2020년에는 친환경 화장품 방부제 제조사 코엠을 인수하며 포트폴리오를 다각화했다.
<기사>
*매일경제[2024.12.26] https://naver.me/x3jCNxRv
*이데일리[2024.12.26] https://www.edaily.co.kr/News/Read?newsId=03434166639122456&mediaCodeNo=257&OutLnkChk=Y
*한국경제[2024.12.27] https://www.hankyung.com/article/202412260680i
*파이낸셜뉴스[2024.12.26] https://www.fnnews.com/news/202412261826341132
*더벨[2024.12.26] https://www.thebell.co.kr/free/content/ArticleView.asp?key=202412261750484800107851
*스마트투데이[2024.12.26] https://www.smarttoday.co.kr/news/articleView.html?idxno=68364
*빅데이터뉴스[2024.12.27] https://www.thebigdata.co.kr/view.php?ud=20241227022327433cd1e7f0bdf_23
40돌 '송원김영환장학재단' 후원하는
김해련 태경그룹 회장
지금껏 875명에 135억 지원
민간기업 최장수 장학재단
'산업의 소금' 기초 소재 1위 기업
계열사 10여곳 2025년 매출 1조
"욕심 안 부리고 대의 좇을 것"
오는 18일 서울가든호텔에선 작지만 뜻깊은 행사가 열린다. ‘송원김영환장학재단’ 설립 40주년 기념식이다. 학자금 혜택을 받은 역대 장학생과 가족이 모여 어려웠던 학창 시절을 회고하고 후배의 미래를 응원하는 자리다.
장학재단을 설립한 기업은 태경그룹. 창업주 고(故) 김영환 회장이 100억원을 출연해 세운 재단이다. 민간 기업이 설립한 국내 최장수 장학재단 중 하나로, 선발 장학생에게 대학은 물론 대학원 졸업까지 연간 1000만원을 지원한다. 지금까지 누적 장학생만 875명(약 135억원)에 이른다.
2세 경영인 김해련 회장(사진)은 15일 “낮에는 공장에서 일하면서 공부했던 부친이 사업을 시작하면서 다짐한 결심이 자신처럼 어려운 고학생을 돕겠다는 것이었다”고 회고했다. 송원장학재단은 100% 오너의 사재로 출발했다. 흔히 기업의 출연기금으로 구성되는 장학재단과 다른 점이다. 그만큼 후학에 대한 진정성이 남달랐다는 얘기다.
김 회장이 태경그룹 경영 전면에 나선 건 2014년부터다. 1975년 창립된 태경그룹은 무기화학 기초 소재 분야 국내 1위 기업이다. 태경산업, 태경BK, 태경케미컬 등 10여 개 법인으로 구성돼 있다. 반도체 조선 제지 식품 화장품 등에 쓰이는 생석회, 경질탄산칼슘 등을 생산한다. 김 회장은 “기초 소재는 양이 많지 않아도 꼭 있어야 하는 ‘산업의 소금’ 역할을 한다”며 “일부 제품은 세계에서 유일하게 생산할 정도로 경쟁력을 인정받고 있다”고 강조했다.
태경그룹은 지난해 매출 7333억원, 영업이익 549억원으로 창사 후 최대 실적을 올렸다. 전년 매출(5167억원) 및 영업이익(405억원)을 크게 뛰어넘은 수치다. 실적 호조를 견인한 건 ‘페트로 코크스’ 사업의 역할이 컸다. 에너지 가격이 크게 오르면서 산업용 보일러에 석탄 대체제로 쓰이는 이 제품의 수요가 급증한 덕이다. 2015년 인수한 태경에스비씨도 효자 노릇을 톡톡히 했다. 주요 거래처인 타이어, 조선, 페인트사의 주문과 수출이 크게 늘었다. 모두 김 회장이 기업승계 후 추진한 사업이다.
김 회장은 “경영자의 역할 중 하나가 트렌드를 읽고 방향을 설정하는 능력”이라며 “업의 본질을 정확하게 이해하고 핵심 역량을 바탕으로 차별적 경쟁 우위를 만들면 지속적인 성장이 가능하다”고 말했다. 이런 자신감엔 근거가 있다. 김 회장은 태경그룹에 합류하기 전 국내 최초의 인터넷 의류 쇼핑몰 회사를 10년간 운영했다. 당시 경험을 바탕으로 이화여대에서 CEO 겸임교수로 강의하는 한편 소비자 트렌드 관련 마케팅 서적도 출간했다.
김 회장은 창립 50주년이 되는 2025년을 매출 1조원 달성의 해로 삼고 있다. 태경그룹의 성장과 더불어 송원장학재단의 기금 규모도 148억원으로 늘어났다. 그룹이 지속적으로 기부금을 출연하고 있어서다. 김 회장은 “이윤을 부동산 등에 투자하는 기업이 많지만, 사회에 이익이 돼야 한다고 생각한 부친의 DNA가 내게도 유전된 것 같다”며 “장학재단을 거친 학생들이 외교관, 변호사, 금융인 등으로 성장한 모습을 볼 때마다 보람을 느낀다”고 말했다.
김 회장의 경영 마인드도 부친을 빼닮았다. 그는 “경영자로서 개인적 이권과 욕심을 부리지 않고 대의(大義)를 좇으면 스트레스받을 일이 없다”며 “그러다 보면 매사가 심플(simple)하게 느껴지고, 그게 곧 행복하게 살아가는 방법”이라고 강조했다.
출처 : 한국경제[2023.03.16] → https://www.hankyung.com/economy/article/2023031513831
㈜태경코엠 연구실은 화장품 원료(항균소재)와 관련하여
꾸준히 연구개발 및 특허등록을 진행하고 있으며 고객의 니즈를 반영한 제품 출시에 노력을 기울이고 있습니다.